요즘같이 눈을 뜰 때마다 물가가 오르는 시절이 있었나 싶을 정도로 무서운 세상입니다. 그런데 돈이 들어갈 곳들은 많고 어쩔 수 없이 써야 되는 비용들이 있는데요. 비싼 외식값을 생각하면 집에서 식사를 많이 해야 하고 그러다보면 도시가스를 많이 쓰게 되는데요. 오늘은 그런 도시가스비를 줄일 수 있는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에 대해서 알아보려 합니다. 함께 볼까요?
1.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제도
겨울 때 사용하는 도시가스 비용을 아낄 수 있는 제도가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입니다. 주택난방용 도시가스를 쓰는 분들을 대상으로 도시가스를 전년보다 덜 쓰게 된다면 이 양에 따라 현금으로 돌려주는 제도죠. 그렇기에 내가 작년보다 난방을 조금 틀었다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라면 꼭 한 번 확인해 보세요.
2. 대상은?
주택난방용 개별난방과 중앙난방 모두 도시가스 요금제를 사용하는 누구나 참여가 가능합니다. 절감기간은 12월부터 3월까지입니다. 올해는 2024년 12월부터 2025년 3월과 작년인 2023년 12월부터 2024년 3월까지의 사용량을 비교하게 됩니다.
3. 신청기간
2024년 12월 1일부터 2025년 3월 31일까지입니다. 하지만 은행 점검시간인 23:30~00:30까지는 신청이 되지 않으니 이 시간은 피해서 신청을 하셔야만 합니다.
4. 캐시백 지급기준
전년에 같은 기간인 12월부터 3월까지 고지서에 쓰여진 양을 기준으로 합니다. 3% 이상 절감시 몇 % 절감율을 하냐에 따라 받을 수 있는 지급단가도 달라집니다.
구분 | 3%이상 10%미만 | 10%이상 20%미만 | 20%이상 30%미만 |
캐시백 지급단가 | 50원/㎥ | 100원/㎥ | 200원/㎥ |
여기서 조금 계산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겨울 온도가 작년에 비해 상승하게 되면 내가 노력한 부분이 아니기에 3%를 절감해도 캐시백을 못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작년에 12월부터 3월까지 기온이 -5도 였고 올해가 만약 -3도였다면 전년대비 2도가 상승했기에 3%가 아닌 8%를 적게 써야 캐시백이 가능합니다.
5. 캐시백 금액 계산해 보기
▶전년도 사용량 : 동절기내 650㎥을 사용
▶금년도 사용량 : 동절기내 500㎥을 사용
▶내가 올해 덜 쓴 사용량 : 150㎥
이렇게 되면 (150 / 650) * 100 = 23% 20~30%미만의 구간에 들어가기에 캐시백 지급단가가 200원이 됩니다. 200원에 150㎥을 곱한 금액인 30,000원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작년의 사용량을 확인해야 알 수 있겠죠?단 작년도 사용량을 확인해야 합니다.
작년 사용량을 알기 위해서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을 위해서 도시가스 요금 고지서를 매달 우편으로 받지 마시고 문자나 이메일로 받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그러면 쉽게 확인이 가능해집니다. 만약 직접 찾으시려면 한국도시가스협회 캐시백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밑의 링크를 참고하시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