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디딤돌대출 관련해서 글들을 많이 썼습니다. 그런데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는 부분이 바로 디딤돌대출 체증식 갚아야 하나라는 질문이었습니다. 여기서 왜 체증식으로 한 상환방식을 갚으려고 하는지 그리고 갚아야 더 좋은지 아니면 갚지 않아야 좋은 것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체증식 상환방식이란?
체증식 상환방식이란 원금은 최대한 늦게 갚고 이자만 처음에 갚는 방식입니다. 디딤돌대출을 받을 때 총 3가지의 상환방법 중에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원리금균등분할상환방식과 원금균등분할상환방식 또는 체증식상환이 가능합니다. 일단 이 방법들을 간단히 알아보면.
- 원리금균등분할상환방식 : 이 방법은 대출기간 동안 우리가 내는 원리금을 모두 같은 금액만 내는 방식입니다. 매달 100만원씩 이렇게 대출을 갚는거죠.
- 원금균등분할상환방식 : 이 방법은 대출 원금에 대해서 매월 동일한 금액을 갚는 것입니다. 원금을 100만원씩 갚고 갚을 때마다 이자는 줄어들기에 전체적인 금액은 줄어드는 방식이죠.
- 체증식상환방식 : 처음엔 원금은 갚지 않고 이자만 갚는 방식.
- 대출 초반 : 원금균등분할상환방식 > 원리금균등분할상환방식 > 체증식상환방식
- 대출 후반 : 체증식상환방식 > 원리금균등분할상환방식 > 원금균등분할상환방식
체증식은 대출 초반에는 가장 적은 돈을 갚기에 유리하고 대신 대출후반에 가장 많은 돈을 갚아야 하는 방식입니다. 그렇다면 체증식을 갚아야 하는지 알아볼까요?
2. 물가에 답이 있다.
갑자기 뜬금없이 체증식을 갚아야 하는지는 물가에 답이 있다고 하니 놀라셨죠? 그 이유는 우리가 가진 돈의 가치 때문입니다. 혹시 20년전에 가진 돈 만원과 지금의 돈 만원 차이가 얼마나 많이 나는지 기억나시나요? 옛날 돈 만원이면 밥 먹고 커피도 한잔하고도 돈이 남았는데, 지금은 밥 한끼 먹기도 쉽지 않죠? 그런데 여기서 하나의 가정이 있는 걸 확인하셔야 합니다.
- 물가가 계속 오르는 인플레이션이 계속 된다 vs 앞으로 더 이상 나라가 발전하지 못해 물가도 내려갈 것이다.
그런데 지금까지 우리나라는 계속 성장을 해 왔기에 물가가 계속 오르는 인플레이션이 진행되었습니다. 요즘에도 물가 오르는 수치를 보면 깜짝 놀랄 때가 많은데, 아직까지 우리나라는 계속 성장을 해 왔기에 물가가 꾸준히 오르는 상황이었습니다. 그런데 만약 나라가 발전하지 못하게 되면 어떻게 될까요? 바로 옆나라 일본처럼 물가가 거의 오르지 않는 일이 일어나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물가가 올라감에 따라 돈의 가치가 떨어지는 부분이 줄어들게 됩니다. 그렇기에 이 두가지 상황을 모두 다 머릿속에 두고 갚아야 할지 고민해야 됩니다.
3. 그렇다면 앞으로 물가가 오를까요?
디딤돌대출 체증식 상환방식으로 이미 돈을 빌리셨다면 물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합니다. 앞으로 물가가 오를지 안 오를지는 참 어려운 예상입니다. 그럼에도 하나만 택해야 한다면, 저는 앞으로도 물가가 계속 올라가리라 생각합니다. 그 이유는 바로 늘어나는 통화량과 계속 상승하는 인건비에 있습니다. 통화량이 늘어나면 물가는 늘어날 수밖에 없고 여기에 인건비가 오르는 것도 결국 물가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이 두 부분을 생각하면 앞으로 물가가 내려가는 모습을 그리기가 어렵지 않나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유럽의 경우도 경기가 좋지 못한데 물가는 계속 오르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일본을 제외하면 물가가 내려가는 디플레이션을 보인 나라는 전세계에 없다는 점도 신경이 쓰이고요.

오히려 물가가 내려가는 건 아마도 먼 미래에는 출산율과 인구부족 이유일 수 있다는 생각을 많이 합니다. 이 그래프는 현재의 출산율인 0점대가 오기 전에 예상한 출산율 그래프입니다. 2060년이 되면 20~50대까지 합친 인구가 60대 이상의 인구와 큰 차이가 없는 시점이 옵니다. 이렇게 되면 돈을 쓸 수 있는 사람도 많이 줄 것이고 사회의 분위기도 많이 다운이 되겠죠. 아마도 이런 분위기가 형성될 2050년 전후가 물가가 떨어지는 시점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4. 지금 체증식 미리 갚아야 할까요?
그렇기에 체증식 상환방식을 미리 갚아야 하는 이유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이와 더불어 시중은행에서는 체증식이 아예 선택이 불가능합니다. 일반 은행에서 하지 않는 이유는 본인들이 손해라는 것을 잘 알기 때문 아닐까요? 정부에서 집을 매매할 때 살 수 있는 디딤돌과 보금자리론, 신생아특례대출에만 적용이 가능한 대출이라는 점도 확인하고 넘어가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앞으로 미래에 다가올 대출이 걱정이 되시겠지만 크게 두 가지 물가의 상승과 일반 시중은행에서 취급하지 않는다는 점을 한 번 잘 생각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저라면 절대 갚지 않고 현재의 이자부터 꾸준히 내면서 실질적으로 물가가 오르면서 원금과 이자 모두 줄어들 수 있는 체증식을 그대로 이용할 것 같습니다.